반응형

전체 글 58

[WSOP] 어른들의 놀이 텍사스 홀덤 texas holdem

축구는 손흥민, 야구는 류현진, 테니스는 권순우, 골프는 김주형, 반도체는 이재용..? 농구는 하승진....??? 어떤 분야에서든 세계적인 순위에 들면 뉴스에도 나오고, 그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다. 우리 2진호, 콩진호가 제 2의 전성기를 포커선수로써 1위를 했다고 한다. 축하축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816500082 ‘만년 2등’ 옛말… 홍진호, 세계 1위 포커로 ‘12억’ 상금 프로게이머에서 포커 챔피언으로 프로게이머 시절 만년 2인자였던 홍진호(40)가 포커선수로 전업해 연달아 1위를 차지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16일 글로벌매체 포커뉴스에 따르면 홍진호는 지 www.seoul.co.kr 포커하면 주로 영화에서 접하거나 카지노..

Share 취미 2022.10.17

[내집] 부동산 매매 시 고려해야할 것들

2022년 10월 12일… 한국은행 역대급 금리인상으로 집값이 하락하면서 대출이자가 2배가 되는 시기이지만, 누군가에겐 집을 살 기회일 것이다. 물론 내년 2023년까지 세계 경제가 더 어려워져서 현재가 집값 바닥은 아니겠지만 무릎은 왔으니 공인중개소나 네이버 부동산을 기웃거릴 시기이다. 집이 쌀때 싸게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짜 매수하게 될때 고려해야할 것들이 있다. 자 그럼 실제로 최근 집을 매매하면서 와 이건 고려 못했는데? 하면서 매매 후 추가로 비용이 드는 항목들을 몇 가지 살펴보겠다. 최종 매수 마감까지 시간의 흐름으로 항목을 나열할 것이고, 경험 상 생겼던 것들이니 놓친 것들도 있을 것이다. 1. 네이버 부동산 시세와 실제 시세는 다르다. 당연한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부동산은 호가이다. 호..

God 성비 2022.10.12

[현직자 피셜] 가맹점 창업 꼭 기억해야할 것들 (프렌차이즈)

현재 월급에서 추가로 돈을 벌고자 하는 생각 중에 가게에 투자만 하여 수익 불노소득을 일으켜보려고 여러 곳에 탐문을 좀 해 보았다. 제일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 카페다. 카페 주인은 많은 이들이 해보고 싶어한다. 내 아지트이기도 하고 사장 소리 들으며 쉽게 추가 사업소득을 일으킬 것 같으니까!! 하지만 전문 개인사업가가 될 생각이 아니라 투잡으로 운영하고자 한다면, 좀 막막할 것이다. 어떤 업종으로 할 것인가, 유동인구가 많은 곳은 어디인가, 좋은 조건의 상가는 어디에 할 것인가, 사업 자금은, 매니저는, 알바 인력은, 인테리어는, 월 매출 예상은, 내 가게 브랜딩은, 마케팅은, 홍보는, 예상되는 가게 운영기간은? 고려해야할 위 조건 중에 많은 것을 대신해 주는 것이 프렌차이즈 가맹점이다. 일단 가맹점 창..

Normal day 2022.10.09

이직의 온상

참으로 작년부터 태풍의 시기가 지나가고 있는 듯 하다. 코로나로 산업 형태나 일하는 방식이 변하고 MZ세대로 대변되는 엔잡러, 30대의 다포시대(연애, 결혼, 임신, 내집마련 포기)가 열리면서 가장 먼저 활발해 진 것은 이직 시장이다. 이직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진 만큼 이제 쉽게 할 수 있는 큰 일이 아니게 되었다. 미생이 방영될 시기만 해도 회사에서 짤리면 사형선고를 받은거 같은 느낌으로 묘사되었는데 요즘은 좋은 조건이면 내가 나간다, 난 또 새로운 잡을 구하면 된다의 개념이 더 자리 잡는다. 가히 IT시대의 엔지니어 전문직의 상황이 일반적인 상황이 되면서 쉽게 생각할 수 있다. (의치약 제외하고 이제 컴공이 이과 탑이란다. 바로 전 세대는 반도체, 생명대가 탑이었고 이 전 세대는 ..

Normal day 2022.10.07

다시 시작된 페스티벌 (2022 EXTREMA outdoor, WDF, UMF) 즐기기

3년만에 돌아온 Festival 뜨거운 여름을 즐기는 방법이다. 2022년 코로나 종식을 말하듯 전 세계에서는 다시 공연 사업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그 중 단연 세계인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은 DJ 페스티벌이 아닌가 싶다.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디제잉 페스티벌은 UMF (Ultra Music Festival)로 일명 움프라 불리며 2022년 돌아왔다. UMF 전 전야제처럼 분위기를 달군 World DJ Festival도 충분히 대표적인 DJ 페스티벌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10년 전 정도부터 시작되었는데 K-culture가 전 세계적인 히트를 치기 전에는 영어로 된 음악을 듣고, 외국의 페스티벌, 클럽 문화를 특히 이태원 등지에서 즐기는 것 만큼 힙한게 없었다. 10년 전에는 그랬다. 부..

Share 취미 2022.10.06

[New trend] 테니스 tennis 입문자의 새로운 시각

30대 유부남이라고 새로운 취미에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무래도 대한민국 2020년대 최고 관심사인 투자, 건강, 행복 중 건강과 행복 추구의 만족감에 테니스가 들어왔다. 필자는 회사에 다니며 골프 라운딩을 10년 하였고, 야구, 농구, 축구 동오회에 가입되어 있다. 솔로일 때 무엇을 못하리… 결혼하면 다 못한다. 나이 들어도 다 못한다. 남은 건 골프인데, 이 글을 보시는 분이면 골프가 얼마나 비싼 취미인지 알 것이다. — 준비물: 클럽 14종, 캐디백, 보스턴백, 의류(여름, 겨울용), 골프공, 골프장갑, 골프 모자, 선글라스 (약 300만원 이상) — 레슨비 : 6개월 기준 약 200만원 — 라운드 비용 : 주말 기준 그린피 30만, 캐디피 5만, 카트비 2만, 그늘집 식사+교통비 10만 대략..

Share 취미 2022.10.05

자산 증식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고민

친구들을 만나거나 회사 동료를 만나도 요즘 모든 이야기는 집값과 금리 이야기 뿐이다. 유튜브나 네이버 기사에도 모두가 반복해서 하는 말이지만 코로나든 러시아 전쟁이든 미국 금리 인상이든… 걍 부자되긴 글렀다는 이야기만 팽배하다. 30대 기혼자 기준으로 3년전 5년전 결혼 후 내집 마련한 경우 등 나눠서 주변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내 주변 실사례는 대부분 유부이기 때문에 결혼 후를 예로 든 것이고, 골드솔로들은 사실 주식 빼곤 경제적인 것에 좀 자유롭다. 1. 대기업 맞벌이 부부 3년 전 서울 아파트 취득 대기업 맞벌이를 하면 한 달에 실제 통장에 찍히는 월급이 900 정도란다. 서울에 아파트를 3년전 주담대 7억 정도를 내고 샀다. 아이는 아직 1명이다. 아파트 값은 코로나로 5억정도 상승했다가 현재는..

Normal day 2022.09.30

[2012-2022] 10년간 각종 투자 연대기 #3

이렇게 투자 방향성을 바꾼후 조금씩 복구를 하였지만, 퀀텀 점프의 투자는 신주인수권 투자였다. https://m.blog.naver.com/kilsunboa/222420574868 신주인수권 매매,행사,매도 방법 with. 엘앤에프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저번에 소개한 엘앤에프 유상증자에서 다음 단계인 신주인수권 매매가 시작되는 날입... blog.naver.com 신주인수권이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에 잘 설명이 되어있는 링크를 가져와 봤다. 난 보면 알겠지만 전문 투자자나 지식인 처럼 투자 방법에 대한 지식도 모르고, 설명도 잘 못한다. 그냥 내가 보기엔 이렇다 라는 이야기이니 자세한 건 다른 블로거의 글로 대신하겠다. 신주인수권은 간단하게 회사가 유상 증자 시 그 주식을 정해진 가격이 우선 매수할 수 ..

카테고리 없음 2022.09.24

[2012-2022] 10년간 각종 투자 연대기 #2

한 2년간 투자를 실패하며 아끼는 삶, 안 쓰는 삶을 30대 초반에 하게되었다. 사실 30대 초반에는 저축을 기반으로 결혼자금 준비를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기에 삶의 형태는 비슷했다. 요즘은 씨드머니를 만들어서 투자하여 부자가 되겠다 하면서 소비를 조절하고 저축하지만, 그때는 대부분 사회 생활 시작하면 바로 다음 단계는 결혼이었다. 근데 난 결혼준비고 뭐고 재투자해서 최대한 손실복구에 몰두하였다. 물론 결혼도 했다. 최근에..결혼 얘기는 안물안굼일거니 넘어가자. 손실 복구를 위한 씨드머니 1000만원은 은근 금방 만들었다. 회사 월급 몇 달과 보너스 월이 운 좋게 돌아오는 날이라 3개월만에 만들었다. 사실 저축이 몸에 배거나 아끼는 삶에 익숙하지 않다. 인생의 모토가 필요한 만큼 더 벌자이기에… 어차피 ..

Normal day 2022.09.24

[2012-2022] 10년간 각종 투자 연대기 #1

매번 랩탑으로 글을 쓰다가 어플로 손쉽게 쓸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 좀 더 자주 뭔가를 적어놓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예전에 검은 요일로 표현되는 코스닥, 나스닥 지수가 대량으로 빠지는 날이 요즘엔 계속되고 있어서 검은 목요일 따위의 기사도 보이지 않는다. 10년의 긴 시간 동안 내 재테크 투자에 대해 돌아보고자 한다. 내용이 길어지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나로써 큰 줄기만 보고 디테일은 따로 다루겠다. 직장인이 된 시점은 미생의 장그래의 인턴시절과 같았다. 모두가 직장 내에서 임원이 되는 것이 꿈이고 임원급에만 들어가면 경제적 사회적 풍요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시대… 미친듯이 사회적 성취를 하는 것을 서울대 입학을 위한 수능공부처럼 한 곳만 보던 시대에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그때도 재테크 성공..

Normal day 2022.09.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