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2-2022] 10년간 각종 투자 연대기 #3

피터캣 2022. 9. 24. 14:57
728x90
반응형

이렇게 투자 방향성을 바꾼후 조금씩 복구를 하였지만, 퀀텀 점프의 투자는 신주인수권 투자였다.

https://m.blog.naver.com/kilsunboa/222420574868

신주인수권 매매,행사,매도 방법 with. 엘앤에프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저번에 소개한 엘앤에프 유상증자에서 다음 단계인 신주인수권 매매가 시작되는 날입...

blog.naver.com


신주인수권이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에 잘 설명이 되어있는 링크를 가져와 봤다. 난 보면 알겠지만 전문 투자자나 지식인 처럼 투자 방법에 대한 지식도 모르고, 설명도 잘 못한다. 그냥 내가 보기엔 이렇다 라는 이야기이니 자세한 건 다른 블로거의 글로 대신하겠다.

신주인수권은 간단하게 회사가 유상 증자 시 그 주식을 정해진 가격이 우선 매수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 같은 것이다.
신주인수권은 따로 신주 인수권 매매창이 있다. 여기서 거래를 하면 되는데 10개를 사면 본주 10개를 일정 금액으로 살 수 있는 권리만 남고 10개를 산 금액은 사라진다. 예를 들어 100원 주고 권리 10개를 샀으면 1000원은 사라진다. 그러므로 신주 인수권은 최대한 싸게 사야한다. 갯수만 남는거니까…
** 신주인수권은 상하한선이 없고 신주인수권이 활발하게 거래된다는 거 자체가 이득이 많이 날만 한 종목이므로, 난 못했지만 다른 사람은 신주인수권 거래로도 꽤 이득을 얻는다. 100원 주고 사서 500원에 팔고 나오는 것이다. 500원을 주고 신주인수권을 산 사람은 1,000원으로 10개의 인수권을 산 사람보다 4,000원 비싸게 10개의 인수권을 산 것이 된다.

그러고 나면 일정 시간 후에 10개를 살 수 있는데 보통 현재 주가는 15,000원이면 10,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로 최대 120%까지 구매 12개까지 구매할 기회를 준다.
계산하면 내 평단이 나온다. 500원 투자한 인수권 구매 금액도 포함하고 최대치인 20%를 더 사면서 평단이 나온다.
구매후 매도할 수 있는 시간은 보통 1-2달 후이기에 현재와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40%의 수익을 기대하며, 보통 시작부터 실현까지 3-4개월 정도의 장기 투자 이다. **물론 내가 매도가 가능한 날짜나 전날에 권리락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수익율이 기대되는 유상증자 종목이 매번 있지는 않다. 1년에 한번 정도 기회로 3-4개월이 걸리니 연간 두 번 투자하면 많이 한 거다.
이 때가 코로나 이전까지 했으니 2017년부터 2020년 초까지 예상가능하게 투자를 좀 할 수 있었다. 약 3-4년 동안 5번 정도의 신주인수권 투자를 하였고 3번은 수익, 2번 정도는 수익이 적거나 본전이었다. 운이 좋았다. 한번도 손해가 나지는 않았으니.
대략 1,000만에서 1,500만을 만들고, 이 후에 꾸준히 씨드머니를 만들어 투자금을 늘리면서, 2,000만 넣고 3,000만 만들고, 마지막에 4,000만 넣고 6,000만원 정도로 마무리 되었던 거 같다.


우수리떼고 주식으로 7천 마이너스에서 6천 정도 복구하고 1천 마이너스 정도에서 현재는 자잘하게 1백, 2백만원대로 바카라 하듯이 유지 중이다.
이게 좀 패착인게, 원금만 찾아서 현금으로 갖고 있다가 코로나로 반토막 반의 반토막은 피했지만 2,3,4배의 수익을 올린 비트코인, 주식, 테슬라 미국 주식 이런건 다 놓쳤다.
(간만에 껄무새로 난 테슬라 주식 초반 200불일때 매수를 했다가 본전에 나왔다. 이 이후 천슬라 갔다가 분할하여 300불 정도가 다시 천슬라 가서 또 분할하여 400불 정도가 900불 정도 갔다가 또 분할로 현재 300불이 될때까지 매수했던 500만원 그냥 두었으면 따라하기든 저축이든 신주인수권이든 할 필요도 없었다. 500이 1억 전후가 되어있었을거네 ㅋㅋㅋㅋ 인생)

결국,
1. 신주인수권의 장점은 어쨋든 주식을 저렴하게 살 기회다. 싸게 사는 것 만큼 리스크가 적은 건 없다.
2. 강제 장기 투자가 된다. 사람은 모두 조급하다. 100년후에 땅속에서 상한가 맞고 싶은 사람은 없다. 조급함을 덜 수 있다.
3. 매도 시기를 정할 수 있다. 손해 구간이든 이익 구간이든 매도는 어렵다. 신주인수권 투자는 매도 할 수 있게 해줄때 미련없이 팔아도 이득이다.
4. 이 모든 사례는 코로나 시기에 로켓트 탔으면 몰라도 된다. 코인 부자 분들도 굳이 ㅋㅋㅋ

역시 돈은 부동산으로 버는 것인가…

-S$

반응형